🚉 ngrok 사용법
먼저 ngrok은 로컬에서 작업 중인 것을 안전한 터널을 통해 외부에 공유하려고 할 때 쓰면 유용한 도구
현재 로컬에서 작업하던 것을 외부에 공유해줘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 가능
👉 ngrok 설치
해당 사이트에 방문해서 회원가입 및 로그인(스킵가능_제약사용)
아래 링크에 들어가서 보시면 운영 체제별로 zip으로 압축한 패키지를 제공하므로 다운로드하여서 압축을 해제하고 PATH에 걸린 폴더에 넣은 후에 사용
ngrok - secure introspectable tunnels to localhost
dashboard.ngrok.com
brew를 이용한 설치
설치한 리스트 출력하기
brew list
brew cask를 이용해 ngrok 설치 결과
👉 ngrok 사용방법
이제 ngrok를 이용하여 직접 http url을 만들수 있다
만약 로컬에서 작업 중인 서버가 5500 포트이라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
ngrok http 5500
그럼 http와, https의 랜덤의 도메인 주소가 자동으로 만들어 줌 아래 2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되는데
안전하게 https를 사용하시는 게 좋음
ngrok by @inconshreveable
Session Status online
Version 2.3.40
Region United States (us)
Web Interface http://127.0.0.1:4040
Forwarding http://04f2-118-32-171-134.ngrok.io -> http://localhost:5500
Forwarding https://04f2-118-32-171-134.ngrok.io -> http://localhost:5500
👉 ngrok 실행 결과
출처: https://triplexlab.tistory.com/134 [TriplexLab]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터레이 파티션 설치 (0) | 2022.01.20 |
---|---|
MySQL) AUTO_INCREMENT 초기화 (0) | 2022.01.19 |
github (깃허브) (0) | 2022.01.19 |
SpringBoot) 서버 재시작없이 뷰 반영하기 (properties 주석 / 한글 설정) (0) | 2022.01.15 |
html input type (0) | 2022.01.14 |